티스토리 뷰


오ㅓㅏ우퍽대새래랠 ㅇㄴㄹㄴㅇㄹㄴㄹㄴㅇㄹㄴㅇㄹㄴㅇㄹㄴㅇㄹㄴㅇㄹ ㄴ만멀ㄴ어 ㅜㄴ아ㅡ ㄴ ㅁ란으한ㄹ읗 ㅇ맇,닣,ㅇ;ㅗㅡ ㅎㅇ ㅏ ㅎ ㅏㅇ ㅗ ㅇ니ㅏ호 ㅇㄶ; ㅗㅇ;ㅎ ㅇ맇 ㅣ왈호 ㅏ,ㅎ ㄴㅇ ㄴㅇㅀ ㄶ ㅇㅀ ㅇㅎ ㅇ
구비서사에서 2천년대 대중문학까지 한국문학의 흐름을 생생하고도 역동적으로 보여주는 한국문학사개설서. 이전 문학사들의 기계적인 연대, 장르 구분과 작품 중심의 서술을 뛰어넘어 한국문학이 동아시아문학, 세계문학 및 다른 문화와 주고받은 영향관계와 소통의 성과를 주목하고, 풍속사, 제도사, 여성주의 등의 다양한 연구시각을 적극 도입했다. 2천년대 새롭고 주요한 흐름으로 자리잡은 아동문학 대중문학 등의 분야까지 포괄하여 한국문학을 장르간, 시대간의 종적, 횡적 연계 속에 살아움직이는 큰 흐름으로 실감할 수 있다. 민족문학사연구소 59인 필자가 3년여 공동기획 집필한 알찬 교양서이다. 기존 논의의 쟁점을 정리하고 깊이있는 이해를 돕는 ‘더 읽을거리’가 각 글의 끝에 붙어 있다.

책을 펴내며·김시업

민족문학의 근대적 전환·최원식
근대문학기점론을 중심으로
1. 왜 기점론인가
2. 갑오경장설
3. 18세기설
4. 북의 1866년설
5. 다시 1894년으로

계몽기 번역론과 근대적 소설 문체의 발견·정선태
1. 번역 또는 ‘문명세계’와 만나는 방법
2. 번역의 전제, ‘국문’의 정립과 문법의 통일
3. 소년 의 번역과 근대적 소설 문체의 발견
4. 「헌신자」와 근대적 소설 문체의 형성

근대문학제도의 성립·차혜영
1. 문제제기
2. 제도로서의 문학의 다양한 측면들
3. 결론을 대신하여

근대계몽기의 서사문학·김영민
1. 서사적 논설의 등장과 지식인의 한글 사용
2. 비실명 단형소설과 계몽의식의 강화
3. 역사·전기소설과 신채호의 소설들
4. 신소설의 대두와 서사성의 강화

3ㆍ1운동 전후의 현실과 문학적 대응·유문선
1. 신소설의 종언과 무정 의 출현: 식민지 계몽주의의 성과와 한계
2. 식민지 계몽주의의 또다른 모습: 우울한 배회와 암담한 현실
3. 3ㆍ1운동과 1920년대 작가들의 등장: 현실-정신의 괴리와 만세전 의 이상하고도 놀라운 성취
4. 현실과의 조우와 소설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경향의 출현과 근대문학의 분화

1920년대 소설의 등장과 전개·박현수
1. 1920년대 소설의 형성기반
2. 유미주의의 두 가지 성격
3. 개성과 식민지현실의 낙차
4. 사실성의 획득과 시선의 문제

한국 근대시 형성과정의 쟁점과 그 향방·정우택
1. 한국 근대시 형성과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상징주의와 자유시운동의 경과와 의미
3. ‘신시 논쟁’의 쟁점과 의의
4. 주요한의 국민시가론과 언어민족주의
5. ‘근대시인’ 이상화

근대극의 모색과 전개·이승희
1. 근대극의 존재방식
2. 신파극의 시대와 희곡의 출현
3. 신극운동의 성립과 사회주의의 파장
4. 대중극의 번성과 신극의 연극주의

카프의 성과와 문학사적 위상·이현식
1. 여는 글
2. 카프의 탄생과 해산
3. 카프의 문학논쟁
4. 카프와 리얼리즘 소설의 발전
5. 카프의 문학사적 성과

1930년대 장편소설과 리얼리즘·채호석
1. 들어가기
2. 농민문학과 노동자문학: 이기영의 고향 과 한설야의 황혼 , 그리고 강경애의 인간문제
3. 자본주의 근대에 대한 비판적 인식: 염상섭의 삼대
4. 근대의 부정성에 대한 풍자: 채만식의 태평천하 와 탁류
5. 역사적 과거로의 회귀: 가족사 연대기 소설과 김남천의 대하
6. 글을 맺으며: 1930년대의 또다른 경향, 리얼리즘의 통속화

식민지근대성과 모더니즘 문학·김종욱
1. 새로운 ‘현실’의 발견
2. 절망적인 세계 앞에 선 개인의 내면 풍경
3. 식민지근대성의 상징, 경성의 발견
4. 현재성의 미학

파시즘시대 한국시의 자유와 부자유·최현식
1. 식민지근대와 시 현실의 이중성
2. 계급혁명의 신념과 주체의 성찰: 임화
3. 언어의 정련과 파괴, 혹은 현실의 견딤과 교란: 정지용과 이상
4. ‘실향’과 ‘귀향’의 변증법: 이용악과 백석
5. 생명 충동과 ‘고향’의 발견: 서정주와 오장환
6. 양심적 영혼의 품격과 저항의 진정성: 이육사와 윤동주
7. 1930년대 시의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

근대의 위기와 한국문학의 새로운 대응·하정일
1. 1930년대 후반: 순환의 끝, 새로운 시작
2. 자기성찰과 저항의 내향화
3. 탈식민 저항의 세 유형

1940년대 ‘국민문학’·윤대석
1. 친일문학, 파시즘문학, ‘국민문학’
2. ‘국민문학’의 사상
3. ‘국민문학’의 언어
4. ‘국민문학’과 민족
5. ‘국민문학’과 젠더
6. ‘국민문학’과 써발턴

국민국가 수립과 문학적 대응· 임규찬
해방 직후
1. 해방 직후의 역사적 성격: ‘해방’과 ‘분단’
2. 정치의 시대와 문학의 정치화: ‘조직’과 ‘운동’
3. 민족문학론의 의의와 한계: ‘민족’과 ‘문학’
4. 해방 직후의 창작성과와 성격: ‘시’와 ‘단편소설’

식민지, 전쟁 그리고 혁명의 도상에 선 문학·한수영
1. 사회ㆍ문화적 환경과 1950년대 문학의 형성
2. 반공 이데올로기와 보편적 휴머니즘, 그리고 새로운 문학의 지평
3. 1950년대 문학의 더 깊은 이해를 위한 몇가지 논점들

한국 현대희곡사 개관·박명진
1. 전후 희곡의 지형도: 반공주의와 실존주의의 풍경
2. 1960년대, 혁명과 일상의 근대성
3. 1970년대, 직설법과 암유(暗喩)의 사이
4. 1980년대, 통제와 해금의 분열

1960년대 문학·서은주·허윤회
1. 개관
2. 1960년대의 시: 새로운 언어질서의 추구
3. 1960년대의 소설: 근대적 개인의 성찰과 비판적 현실 인식

민중ㆍ민족문학의 양상·김명인·박지영
1970,80년대의 문학
1. 개관
2. 민중 주체의 형상화와 이상주의적 열정: 1970,80년대 민중시
3. 민중ㆍ민족문학적 전통의 부활과 급진적 전망: 1970,80년대 소설

1970,80년대 자유주의 문학·류보선·이기성
1. 1970,80년대 자유주의 문학의 위상
2. ‘끔찍한 모더니티’와 지배언어의 해체: 1970,80년대 자유주의 시들
3. ‘순종하는 신체’와 실재의 윤리: 1970,80년대 자유주의 소설들

현대희곡의 전통 수용과 마당극·배선애
1. 현대희곡이 불러온 ‘전통’이라는 대상
2. 보존과 실험: 전통을 호출하는 기성 연극계의 시선
3. 전통의 변증법적 재창조: 마당극의 형성과 전개
4. 현대희곡의 전통 수용이 남긴 과제

1990년대와 탈이념시대의 문학·진정석
소설을 중심으로
1. 90년대 문학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2. ‘후일담’적 상상력과 내성의 글쓰기
3. 대중소비사회의 대두와 문학적 대응
4. 여성적 체험의 형상화와 일상의 발견
5. 맺음말

민족문학론의 역사적 전개·신두원
1. 머리말
2. 20세기 전반기 민족문학론의 역사
3. 민족문학론의 패러다임
4. 20세기 후반기 민족문학론의 역사
5. 마무리

북한문학사의 쟁점·유임하·오창은·김성수
1. 우리 문학사에서 북한문학의 위상
2. 건설기ㆍ전쟁기(1945~53) 북한문학의 쟁점
3.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건설기 북한문학의 쟁점
4. 주체문학시대(1967~현재) 북한문학의 쟁점
5. 남는 문제들: 선군문학의 현실과 문학사 통합의 이상

여성의 관점에서 본 근ㆍ현대문학사의 (재)구성·김양선
1. 여성문학 연구의 현재
2. 민족ㆍ젠더ㆍ문학
3. 여성문학사 서술의 과제: 여성문학 장(場)의 형성원리 규명
4. 여성성, 여성적 글쓰기: 여성주의 시학 정립
5. 결론

아동과 문학·원종찬
아동문학, 무엇이 문제인가
1. 잘못된 통념: 동심천사주의와 교훈주의
2. 성립과 전개: ‘일하는 아이들’과 현실적인 작품경향
3. 장르 구분: 동요ㆍ동시ㆍ어린이시와 동화ㆍ소년소설ㆍ판타지
4. 연구과제: 실증적 기초와 고유이론의 확립

대중문학의 이해·조성면
1. 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 범주와 개념
2. 대중, 독자, 그리고 대중문학
3. 대중문학의 전개
4. 대중문학의 의미와 가능성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